국어영역 10문제를 보는 눈
국어영역 시험지를 펼치면 이렇게 4쪽에 걸쳐서 시험문제들이 펼쳐져 있다. 참고로 2019년 기출문제를 예로 들었다. 이제는 다 알겠지만 1~5번은 화법문제, 6~10번은 작문 문제라고 했다. 하지만 위 시험지의 경우 문제의 묶음이 [1~3], [4~7], [8~10] 이렇게 묶여 있다. 걱정할 필요는 없다. [4~7]번의 경우 혼합된 형태인데 조금만 더 들여다 보면 정확하게 화법 2문제와 작문 2문제가 혼합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 이게 숲이다. 한 문제 분석하고 다음 문제 문석하고 그렇게 하다보면 한 문제에만 발목이 잡히게 된다. 중요한 건 전체를 보는 눈이다. [1~3], [4~7], [8~10] 이 10문제를 어떻게 보느냐이다. [4~7]에서 설명하겠지만 앞으로도 이런 형태의 묶음이 나온다면 걱정말고 무조건 화법 5문제, 작문 2문제가 나온다고 보면 되겠다.
위를 보면 문장을 끊었다. 앞으로도 문항을 끊어서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겠다. 쉼표를 기준으로 끊었다. 우리가 무심코 넘어가는 '쉼표'는 그냥 괜히 심심해서 찍혀 있는 게 아니다.
문항/선택지에서 '쉼표'를 중심으로 끊어 읽는 연습
[4~7] (가)는 학교 신문에 실을 기사문의 초고이고, / (나)는 (가)를 수정하기 위한 회의이다. / 물음에 답하시오.
위 문항을 3부분으로 나눴는데 앞으로도 계속 나올 '물음에 답하시오.'는 형식적인 걸로 생각하고 논외로 한다. 집중할 부분은 기사문의 초고는 작문, 수정하기 위한 회의는 화법이라는 것이다. [4~7]번의 문항이 이렇게 조직되었다는 것은 작문 2문제, 화법2문제를 내겠다는 이야기다.
자 그러면 이제 묶음 별로 확인해보자.
2019년 수능 국어영역 [1~3]
[1~3] 묶음 중 1번 문제이다.
문제를 푸는 게 아니라 그냥 일단 훑어보는 단계이다. 위 방송 진행자의 말하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 문장에서 키워드는 '말하기 방식'이다. 키워드란 문제를 풀어가는 핵심 단어를 뜻한다. 즉 기출분석을 할 때마다 지겹도록 반복되는 단어이기도 하다.
1번 키워드 : 말하기 방식 - 계생조표고 중 표현하기 단계
이정도만 하고 넘어 간다. 문제는 풀지 않아도 좋다.
다음 2번 문제다. 다음은 위 방송을 진행하기 위해 진행자가 세운 계획이다. 방송에 반영되지 않은 것은? 자 여기서 키워드는 눈에 잘 들어온다. '계획'이다. 계획이라는 단어가 나온다고 무조건 100% 계생조표고 중에 계획하기단계라고 볼 순 없지만, 대부분 계획하기 단계이다. 방송 진행자가 방송을 진행하기 위해 세운 계획이니 계획하기 단계라고 볼 수 있다.
2번 키워드 : 계획 - 계생조표고 중 계획하기 단계
그런데 이 문제에서는 굉장히 기본적인 이야기를 잠시 하고 넘어가겠다.
방송에 반영되지 않은 것은? 에서 '않은'에 밑줄이 그어져 있다.
이 때 밑줄 아래에 X라고 적어 놓자. 왜냐면 대부분 부정적인 단어 아래 밑줄이 그어져 있다. 즉, 밑줄이 그어져 있지 않은 문장은 O를 찾는 문제이다.
왜 이렇게 풀어야 하냐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선택지에서 번호에다가 체크표시로 답을 찾고 답이 아닌 선택지의 번호에 사선을 긋는다. 이게 나중에 엄청난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이 부분은 따로 특집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X를 찾는 문제, O를 찾는 문제 반드시 O와 X로 구분한다.
이정도만 확인하고 3번으로 넘어 간다. 지금은 그냥 키워드만 찾아내는 단계이다.
3번 다음은 위 방송을 들은 청취자들이 게시판에 올린 댓글이다. 방송 내용을 고려하여 청취자들의 반응을 분석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위 문항에서의 키워드는 '댓글', '청취자들의 반응'인데 '반응'이라는 단어에 더 집중하자. 더 일반적이고 많이 나오는 단어니까.
화법을 표현과 이해로 보면 방송 진행자는 표현을 한 것이고, 청취자들은 이해를 한 것이다. 이 문제는 표현과 이해를 다루는 문제이다. 그래서 [3점]짜리 문제인 것이다.
3번 키워드 : 반응
이 문제는 표현과 이해를 다루는 문제 -> [3점]
표현의 단계는 계생조표고, 이해의 종류는 사추비감(이게 무슨 말인지는 차차 나온다.)
일단은 이정도만 알고 넘어 가자.
2019 수능 국어영역 [4~7]
위에서 [4~7] 묶음 안에 화법이 2문제, 작문이 2문제가 있다는 내용은 다루었다. 그러면 조금만 더 자세히 들여다보며 키워드를 뽑아 내자.
4번 '학생 3'이 (나)를 참고하여 (가)를 고쳐 쓰기 위해 세운 계획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 문제는 어려운 문제는 아니지만 조심하라는 3가지가 종합 선물세트로 나와 있다. 문제의 난이도와 중요성을 떠나서 3가지를 조심해야 하는 문제이다.
1. 키워드는 '계획'이 아니라 '고쳐 쓰기'가 더 핵심이다.
2. 않은에 밑줄이 있으니 X를 찾는 문제이다.
3. (나)를 참고하여~ : <보기>를 비롯해서 ~를 참고하여~ 이런 문제들은 집중을 해야 한다.
일단 4번의 키워드는 '고쳐 쓰기'이니 계생조표고 중 고쳐쓰기 단계이다. 또 넘어가자.
4번 키워드 : 고쳐 쓰기 - 계생조표고 중 고쳐쓰기 단계
5번 (나)를 바탕으로 할 때, (가)의 마지막 부분에 추가로 작성할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자... 또 나왔다. 아까 4번 문제에서는 (나)를 참고하여~. 이번엔 (나)를 바탕으로 할 때 하고 쉼표가 박혀있다. (나)가 4,5번 문제를 푸는 핵심이 된다는 것이다.
어쨌든 5번 문제의 키워드는 '추가로 작성할 내용'이다. 작성하다. 작성하다는 말은 글을 쓸 때 사용되는 단어이다. 그러므로 계생조표고 중에 표현하기 단계이다.
5번 키워드 : 추가로 작성할 내용 - 계생조표고 중 표현하기 단계
6번 대화의 흐름을 고려할 때, ㄱ~ㅁ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 이번에도 3종세트!
1. 키워드 : 대화의 흐름
2. 않은에 밑줄 - X를 찾는 문제
3. ~를 고려할 때
대화의 흐름이 키워드인데 이 부분은 조금 어려운 부분이다. 일단 흐름이라는 단어는 조직하기 단계에서 사용하는 단어이긴 하지만 ㄱ~ㅁ은 이해의 영역이다. 우리가 계속 이야기하는 계생조표고는 표현의 영역이고. 암튼 이 문제는 자세한 기출문제 분석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7번 [A], [B]의 담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7번 문제는 할 말이 조금 많지만 지금은 겉핥기를 하는 단계이니 키워드만 찾고 넘어 가자. 키워드는 '담화'. 담화는 이야기의 한 덩어리이니 내용 생성하기 단계라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굳이 계생조표고를 따질 필요가 없는 문제이긴 하다. 자세한 건 기출문제 분석에서...
2019 수능 국어영역 [8~10]
8번 ㄱ~ㄷ을 고려하여~ 또 나왔다. 뭘 자꾸 고려하라고 한다. 중요하다는 뜻이다. <조건>, <보기>라는 뜻이다. 키워드는 글쓰기 전략이다. 그리고 X를 찾는 문제.
글쓰기 전략은 당연히 글을 쓰기 전에 계획을 한다. 따라서 계생조표고 중 계획하기 단계.
9번 (나)를 활용하여~ 이제 분명히 패턴이 보일 것이다. 아니 한 시험 문제안에서 이정도로 패턴이 자주 나온다면 이제 다른 문제를 볼 때도 이정도의 패턴과 반복되는 문항의 형식이 눈에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물론 이 것만 보인다고 문제를 잘 푸는 건 아니지만 앞으로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함이다.
~을 활용하여, ~을 고려하여, 이런 표현은 ~부분이 <조건> <보기>가 된다는 것이다.
일단 중요하다고 했던 '자료'가 드디어 나왔다. 자료를 수집하고 선별하는 단계는 계생조표고 중 내용 생성하기 단계.
10번 <보기>에서 근거를 찾아 반박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글을 쓰려고 한다니까 키워드는 '글을 쓰려고'니까 계생조표고 중 표현하기 단계
그런데 그냥 글을 쓰는 게 아니라 <보기>에서 근거를 찾으라고 한다. 그래서 이 문제가 [3점]짜리 문제인 것이다.
~를 활용하여, ~를 고려하여, ~에서 근거를 찾아
이러한 표현 패턴에 주의하자!!!
정리
자 진짜로 문제만 쳐다보기를 해봤다. 이게 정말 중요하다. 중하위권에 늘 문제푸는 지옥에서 헤매고 있다면 이 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다음 글에서부터는 이제 자세하게 분석을 파헤쳐보겠다.
2020/03/11 - [수능 국어영역] - 2020년 수능 국어영역 이렇게 준비해보자!
2020/03/12 - [수능 국어영역] - 수능 국어영역 10개월의 계획짜기
2020/03/13 - [수능 국어영역] - 2021수능 국어영역 화법과 작문 공부하는 법
'국어 > 수능 국어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수능대비 화법과 작문 기출문제 분석 | 이독학 (0) | 2020.03.16 |
---|---|
2021수능 국어영역대비 화법 기출문제분석 | 이독학 (0) | 2020.03.15 |
2021수능 국어영역 화법과 작문 공부하는 법 (0) | 2020.03.13 |
수능 국어영역 10개월의 계획짜기 (0) | 2020.03.12 |
2020년 수능 국어영역 이렇게 준비해보자! (0) | 2020.03.11 |